728x90
반응형
가장 유능한 사람은 가장 배움 힘쓰는 사람이다.
The most competent person is the one who tries to learn most.
- 요한 볼프강 폰 괴테(Johann Wolfgang von Goethe)

단어
"청빈하다"
- 마음이 깨끗하고 재물에 욕심이 없어 가난하게 사는 상태에 있다.
- 맑을 청 淸 가날할 빈 貧 즉, 맑은 가난으로 마음이 곧고 탐욕이 없어 가난함을 뜻한다.
"호젓하다"
- 조용하고 고요한 상태를 뜻한다.
- 매우 홀가분하여 쓸쓸하고 외롭다.
"소슬하다"
- 허전하고 쓸쓸한 상태를 뜻한다.
- 쓸쓸할 소 蕭 엄숙할 슬 瑟
"가멸다"
- 재산이나 자원 따위가 넉넉하고 많다.
"흔연히"
-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이 좋다.
- 기쁠 흔 欣 그러할 연 然,
- '흔연하다'의 어근

속담
"말이 고마우면 비지 사러 갔다가 두부 사 온다"
- 상대에게 좋게 대하면 내가 더 좋게 돌아온다는 뜻
- 비지는 두부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로 두부보다 훨씬 저렴했다.
- 좋은 말, 친절한 말로 인해서 더 후하게 해 주게 된다는 뜻으로 말을 곱고 정답게 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.
"모기 다리의 피만 하다"
- 분량이 아죽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
"바늘구멍으로 하늘 보기"
- 작은 바늘구멍으로 넓은 하늘을 본다는 뜻
- 전체를 포괄적으로 보지 못하는 매우 좁은 소견이나 관찰을 비꼬는 말
- 짧고 얕은 생각으로 전체를 폭넓게 보지 못하는 모습을 꼬집는 말
"까마귀가 검기로 마음도 검겠나"
- 겉모습이 지저분하고 볼품 없다고 형편 없는 사람이라 함부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뜻
- 사람을 평가할 때 겉모습만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는 말
"계란에도 뼈가 있다"
- 운이 없는 사람은 좋은 기회를 얻어도 그르친다는 뜻
- 뼈가 없는 계란에 뼈가 있어 먹지 못한다는 의미로 운이 없는 사람들 주위에서 도와줘도 어떤 이유로 인해 잘 풀리지 않을 때 사용된다.
- 유래로는 황희정승의 이야기가 있다. 임금이 청빈한 황희정승을 도와주고자 이번 장날에 남대문으로 들어오는 모든 물건을 사서 준다고 했으나 그 날 큰비가 내려서 들어오는 물건이 없다가 저녁에 계란 한 꾸러미가 왔다. 그 물건을 사서 보냈으나 먹으려 보니 곯아있어서 먹지 못했다고 한다. 혹은 오래되어 병아리가 되려고 뼈까지 생긴 계란이라 먹지 못했다고 한다.
- 계란유골(鷄卵有骨)이란 사자성어로도 있다.

사자성어
"구밀복검(口蜜腹劍) "
- 입 구 口, 꿀 밀 蜜, 배 복 腹, 칼 검 劍
- 입으로는 꿀처럼 달콤한 말을 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
- 겉으로는 친절하게 대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뜻을 품거나 뒤에 가서는 헐뜯거나 적대하는 것
"지상담병(紙上談兵)"
- 종이 지 紙 , 위 상 上 , 말할 담 談 , 병사 병 兵
- 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한다
- 이론만 떠들고 실제로는 행동하지 않거나 실행력이 없는 사람을 비유하는 것
- 실제적인 쓰임에서는 필요 없음을 비유한 말 즉, 실제 상황과 이론의 차이를 강조
"표리부동(表裏不同) "
- 겉 표 表, 속 리(이) 裏, 아닐 불 不, 한가지 동 同
-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
- 겉으로는 보이는 태도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말
- 즉,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사자성어
"지록위마(指鹿為馬)"
- 가리킬 지 指 , 사슴 록 鹿 , 위할 위 為 , 말 마 馬
-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
-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휘두르는 경우를 나타낸다.
- 분명한 사실을 거짓말로 꾸미는 상황을 나타낸다
- 불가능한 일을 가능하다고 주장하거나 잘못된 말을 진실처럼 여기는 상황을 비유
"구시심비(口是心非) "
- 입 구 口, 옳을 시 是 , 마음 심 心 , 아닐 비 非
- 말로는 옳다 하면서 마음으로는 그르게 여김을 이르는 말
- 겉으로는 동의하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반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
728x90
반응형
'오늘의 정보 >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늘의 지식 :: 챗지피티(ChatGPT)에게 물어본 속담 #2 (0) | 2025.02.13 |
---|---|
오늘의 지식 :: 새로운 단어, 속담, 사자성어 알아가기 #4 (4) | 2025.02.08 |
오늘의 지식 :: 챗지피티(ChatGPT)에게 물어본 속담 #1 (3) | 2025.02.07 |
오늘의 지식 :: 새로운 단어, 속담, 사자성어 알아가기 #3 (3) | 2025.01.07 |
오늘의 지식 :: 새로운 단어, 속담, 사자성어 알아가기 #2 (6) | 2024.12.17 |